본문 바로가기

Do it! 점프 투 파이썬

(7)
[Python]클래스 객체 : 객체마다 고유한 성격을 가진다. 동일 클래스로 만든 객체들은 서로 전혀 영향을 주지 않는다. ※ 인스턴스: 특정 객체가 어떤 클래스의 객체인지 관계 위주로 설명할 때 사용 class Cookie: pass #기능 없음 a = Cookie() # Cookie()의 결괏값을 돌려받는 객체 a, b b = Cookie() # a, b는 Cookie의 인스턴스 메서드 : 클래스 안에 구현된 함수.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수행문 ... ※ 메서드를 호출한 객체가 매개변수 self에 자동으로 전달된다. (객체를 호출할 때 호출한 객체 자신이 전달되기 때문에 self를 사용) class FourCal: def setdata(self, first, second): self.first = first # a...
[Python]파일 읽고 쓰기 f = open('a.txt', 'a') for i in range(11, 20): data = "%d번째 줄이다. \n" %i f.write(data) f.close() 1. 파일생성('w') 파일객체 = open(파일명, 파일 열기 모드) ※ 파일 열기 모드 : r (읽기) - 파일생성시 해당파일이 존재하면 기존 내용이 모두 사라지고(덮어쓰기), 존재하지 않으면 새 파일 생성 w (쓰기) a (추가모드) f = open("새파일.txt",'w') f.close() - write함수 (파일에 결과값 적기) f = open('a.txt', 'w') # write(파일생성) a.txt 파일 객체를 연다 for i in range(1, 11): data = "%d번째 줄이다. \n" %i #a.txt에 내용..
[Python]함수 - def / lambda 함수 : 입력값을 가지고 수행 후 결과물을 출력하는 일을 한다. 반복적으로 사용되는 가치있는 부분을 묶어 어떤 입력값을 주었을 때 어떤 결과값을 돌려준다. 프로그램의 흐름을 일목요연하게 볼 수 있어 오류발견이 쉽다. def 함수명(매개변수): 수행문1 수행문2 ... def add(a, b): retuen a+b a = 3 b = 5 c = add(a, b) print(c) # 8 출력 - 인수 :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하는 입력 값 - 매개변수 : 함수에 입력으로 전달된 값을 받는 변수 - 입력값, 결과값에 따른 함수의 형태 ① 입력값과 결과값이 있는 함수 (일반적인 함수) 결과값을 받을 변수 = 함수명(입력인수1, 입력인수2, ...) def add(a, b): result = a+b return r..
[Python]제어문 - if / while / for 1. if문 : 주어진 조건을 판단하여 조건에 맞는 상황을 수행하는데 사용. (else문은 if문 없이 단독으로 사용할 수 없음) ※ 수행문 들여쓰기는 언제나 같은 너비로 해야한다. if 조건문: 수행문1 수행문2 elif 조건문n: 수행문1 수행문2 else: 수행문1 수행문2 - 조건문 : 참과 거짓을 판단하는 문장을 말한다. ※ pass: 아무런 일도 하지 않도록 설정하고 싶을 때 사용 비교연산자 설명 예) x=3, y=2일 경우 출력 결과 x y x가 y보다 크다. True x == y x와 y가 같다. False x != y x와 y가 같지 않다. True x >= y x가 y보다 크거나 같다. True x = 3000 or card: #참 print..
[Python]자료형(2) - 리스트/튜플/딕셔너리/집합 1. 리스트 : 여러 개의 값을 하나의 변수로 관리하기 위한 기능. 순서대로 정리된 항목을 담음 대괄호로 감싸주고 각 요소는 쉼표로 구분. 리스트명 = [요소1, 요소2, 요소3, ...] 요소값으로는 비어있거나 숫자, 문자열, 숫자와 문자열, 리스트 자체가 올 수 있다.(어떠한 자료형이든 포함 가능) - 리스트 인덱싱 : 문자열처럼 인덱싱 적용 가능 li = [1, 2, 3, 4, 5] print(li[0]) #1 출력 print(li[1]+li[4]) #7 출력(2+5) print(li[-2]) #4 출력 a = [1, 2, 3, ['a', 'b', 'c']] print(a[3]) #['a', 'b', 'c'] print(a[-1]) #['a', 'b', 'c'] print(a[3][0]) #'a' ..
[Python]자료형(1) - 숫자/문자열 1. 숫자형 - 정수 a = 123 a = -123 a = 0 - 실수 a = 1.23 a = -3.45 a = 4.24E10 #4.24*10^10 a = 4.24e-10 #4.24*10^-10 - 8진수: 숫자가 0o 또는 0O으로 시작 a = 0o177 - 16진수: 0x으로 시작 a = 0x8ff a = 0xABC 숫자형자료형을 활용하기 위한 연산자 - 사칙연산(+, -, *, /) - 제곱(**): x의 y제곱 = x**y - 나눗셈 후 나머지 반환: %, 몫 반환: /(몫에 해당하는 정수만 반환: //) 2. 문자열 : 문자열(String)이란 문자, 단어 등으로 구성된 문자들의 집합을 의미한다. "큰따옴표", '작은따옴표', """큰따옴표 3개연속""", '''작은따옴표 3개연속'''을 사용해..
[Python]시작하기 파이썬Python : 귀도 반 로섬이 개발한 인터프리터 언어. (인터프리터 언어: 한 줄씩 소스코드를 해석/실행해 결과를 바로 확인할 수 있는 언어) 파이썬의 특징 - 공동작업과 유지보수가 매우 쉽고 편하다(다른 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/모듈이 파이썬으로 재구성) - 문법이 쉬워 빠르게 배울 수 있다(직관적) - 간결하다. {}괄호를 사용하지 않고, 프로그램 실행을 위해 들여쓰기를 해야한다(가독성) - 개발 속도가 빠르다 ※한 줄 주석: # ※여러 줄 주석: ''' ''' or """ """(파이썬에서는 큰/작은따옴표의 구분이 없다.) 출력함수: print(n, end=” “) - end=” “는 내용을 일렬로 출력해준다. - 큰 따옴표로 둘러싸인 문자열은 +와 동일 print("Life" "is" "to..